WEB

WEB - 브라우저 동작 원리

WEB

Posted by kwon on 2021-01-24

브라우저 동작 원리

렌더링 과정(요약)

  • HTML을 파싱하여 DOM 객체를 생성하고, CSS를 파싱하여 CSSOM을 만든다.
  • 이 두개를 합쳐서 실제로 웹 브라우저에 보여져야할 요소를 표현한 렌더 트리를 만든다.
  • 이 렌더 트리를 기준으로 레이아웃을 배치하고 색을 칠하는 등의 작업을 한다.

Critical Rendering Path

  • 브라우저가 하나의 화면을 나타내는 과정
  1. HTML데이터를 파싱한다.
  2. 파싱한 결과로 DOM Tree를 만든다.
  3. 파싱 중 CSS파일 링크를 만나면 CSS파일을 요청해서 받고, CSS 파일을 읽어 CSSOM(CSS Object Model)을 만든다.
  4. DOM Tree와 CSSOM을 사용해 Render Tree를 만든다.
  5. Render Tree의 노드들이 화면의 어디에 위치할지 계산한다.
  6. 웹페이지를 그린다.

1. HTML 데이터를 파싱

브라우저는 응답으로 받아온 HTML문서를 DOM으로 만들기 위해 각각의 요소를 파싱한다. 이 과정에서 미디어파일(이미지나 비디오등)을 만나면 추가 요청을 보낸다. 또한 JavaScript를 만나면 실행할 때까지 파싱을 멈춘다.

2. DOM Tree 구성

Screen Shot 2020-12-29 at 03 39 15 AM

브라우저는 읽어들인 HTML 바이트 데이터를 해당 파일에 지정된 인코딩(ex: UTF-8)에 따라 문자열로 바꾸게 된다. 이렇게 바꾼 문자열을 다시 읽어서, HTML 토큰으로 변환한다. 태그의 경우 StartTagEndTag로 변환된다.

토큰들은 다시 노드로 바뀌는데(렉싱), StartTagEndTag사이에 있는 노드들은 자식노드로 들어간다. 즉 트리모양이 되는데, 이 과정이 끝나면 DOM Tree가 생성되는 것이다.

3. CSSOM 구성

HTML을 파싱하다 CSS링크를 만나면, CSS파일을 받아온다. CSS파일은 파싱과정을 거쳐 Tree형태의 CSSOM으로 만들어진다. CSS 파싱은 cascading규칙(부모의 특성을 자식이 이어받음)이 추가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HTML파싱과 동일하다.

CSSOM(CSS Object Model)이 구성이 되어야 다음 과정으로 넘어갈 수 있기 때문에, CSS는 렌더링의 blocking 요소라고도 한다.

Screen Shot 2020-12-29 at 02 43 06 AM

4. Render Tree 구성

DOM 및 CSSOM 트리는 결합되어 Render Tree를 형성한다. Render Tree는 DOM Tree에 있는 것들 중에 실제 페이지를 렌더링하는 데 필요한 노드들만 포함된다.

즉, display:none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DOM Tree에 있어도 Render Tree에는 없다. 마찬가지로 DOM Tree 중 일부 노드(<head>, <title>, <script> 등)는 화면에 표현되는 노드가 아니기 때문에 Render Tree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5. Layout(Reflow)

Render Tree가 만들어지면, 이제 각각의 노드들의 정확한 크기와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을 Layout과정이라고 한다. position, width, height 등 위치 및 크기에 관련된 부분들을 계산한다.

width:100%인 상태에서 브라우저를 리사이즈하면, Render Tree는 변경되지 않고 Layout 이후 과정만 다시 거치게 된다.

6. Paint

Layout과정을 거쳐 계산을 마치면, 실제 그리는 작업(Paint)을 수행한다. 실제로 픽셀이 화면에 그려지며, 만약 Render Layer가 2개 이상이면 각각의 Layer를 그린 뒤 하나의 이미지로 Composite하는 과정을 거친 뒤 브라우저에 실제로 그려지게 된다.

색이 바뀐다거나 노드의 스타일이 바뀌는 걸로는 Layout 과정을 거치지 않고 Paint만 일어난다.


Reflow

height, width, left, top, font-size, line-height 등의 속성이 변경되는 경우 발생하며, 변경이 필요한 렌더 트리에 대한 유효성 확인 작업과 함께 노드의 크기와 위치를 다시 계산한다. 좀 더 정확하게는 노드의 크기 또는 위치가 바뀌어 현재 레이아웃에 영향을 미쳐 배치를 다시 해야 할 때 Reflow가 발생한다.

특정 요소에 Reflow가 발생하면 요소의 DOM 구조에 따라 자식 요소와 부모 요소 역시 다시 계산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문서 전체에 Reflow가 발생할 수도 있다.

Repaint

변경 영역의 결과를 표현하기 위해 화면이 업데이트되는 것을 의미한다.(Reflow만 수행되면 실제 화면에 반영되지 않는다.) Reflow가 발생하거나 배경색 변경 등의 단순한 스타일 변경과 같은 작업이 발생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간단하게는 화면을 변경해야 할 때 발생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러한 작업을 Repaint 또는 Redraw라고 한다.

border-radius , shadow-box 등의 속성이 변경되는 경우, imgsrc가 변경되어 이미지가 decode 되는경우, Layout이 수행된 경우 발생한다.

ReflowRepaint 모두 처리 비용이 발생하지만 Repaint보다 Reflow의 비용이 훨씬 높다. Reflow는 변경 범위에 따라 전체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변경해야 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든 ReflowRepaint 때문에 UI의 화면 표현이 느려져 UX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코드를 작성할 때 이를 최소화해야 한다.

참조

https://bearjin90.tistory.com/19

https://boxfoxs.tistory.com/408

https://12bme.tistory.com/140

https://d2.naver.com/helloworld/59361

https://it-ist.tistory.com/110

https://developers.google.com/web/fundamentals/performance/critical-rendering-path/constructing-the-object-model?hl=ko

https://isme2n.github.io/devlog/2017/07/06/browser-rendering/